공인 IP / 사설 IP / 고정 IP / 유동 IP
IP 주소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를 식별하는 역할프로토콜 버전에 따라 IPv4와 IPv6로 구분된다.공인 IP / 사설 IP / 고정 IP / 유동 IP IPv4" data-text-less="닫기">더보기IPv4패킷 교환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 않아 잘못 전달할 가능성이 있다. IPv4의 주소체계는 총 12자리이며 네 부분으로 나뉜다. IPv6" data-text-less="닫기">더보기IPv6IPv4 프로토콜의 주소가 32bit라는 제한된 주소 공간이며 거의 소진되고 있다는 한계점으로 인해 대안으로서 IPv6 프로토콜이 탄생. IPv4는 32비트의 주소공간을 제공함에 반해, IPv6는 128비트의 주소공간을 제공한다. 고정 IP변하지 않고 ..
2024.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