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를 식별하는 역할
- 프로토콜 버전에 따라 IPv4와 IPv6로 구분된다.
- 공인 IP / 사설 IP / 고정 IP / 유동 IP
더보기

IPv4 헤더
IPv4

패킷 교환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 않아 잘못 전달할 가능성이 있다.
IPv4의 주소체계는 총 12자리이며 네 부분으로 나뉜다.
더보기

IPv6 헤더
IPv6

IPv4 프로토콜의 주소가 32bit라는 제한된 주소 공간이며 거의 소진되고 있다는 한계점으로 인해 대안으로서 IPv6 프로토콜이 탄생.
IPv4는 32비트의 주소공간을 제공함에 반해, IPv6는 128비트의 주소공간을 제공한다.
고정 IP
- 변하지 않고 컴퓨터에 고정적으로 부여된 IP
- IP 반납 전 까지는 한 번 부여되면 다른 장비에 줄 수 없는 고유의 IP
유동 IP
- 인터넷 사용자 모두에게 고정 IP를 주기는 힘듦
- 일정 주기 혹은 사용자들이 접속하는 매 순간마다 사용하고 있지않는 IP 주소를 임시로 발급해줌
- 대부분 사용자는 유동 IP를 쓴다.
공인 IP (Public IP)
- 인터넷이 사용자를 찾을 수 있도록 사용자를 식별하는 역할
- 전 세계적으로 ICANN 기관이 국가별로 사용할 IP 대역 관리
- 국내에선 KISA에서 국내 IP 주소들을 관리하고 있다.
- 이를 ISP가 부여받고, ISP인 통신업체에 가입을 통해 공인 IP를 제공받아 인터넷을 사용하게 되는 것
-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s
- ex) KT, LG, SKT : 인터넷을 제공하는 통신업체
사설 IP (Private IP)
- 내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로컬 IP 라고도 한다.
- 어떤 네트워크 내에서만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고유한 주소
- 공인 IP는 외부, 내부 상관없이 해당 IP 에 접속 가능
- 사설 네트워크에서 다른 장치와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 동일한 네트워크의 각 장치에는 고유한 사설 IP 주소가 할당된다.
- 공유기를 사용한 인터넷 접속일 경우, 공유기까지는 공인 IP 할당을 한다.
- 공유기에 연결된 가정이나 회사의 각 네트워크 기기에는 사설 IP를 할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