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의 소소한 지식 (call by object reference, Typehints, docstring, flak8, black)
|2023. 10. 17. 16:40
Call by Object
파이썬 함수 호출 방식 - Call by Object Reference
- 객체의 주소가 함수로 전달되는 방식
- 전달된 객체를 참조하여 변경 시 호출자에게 영향 But 새로운 객체를 만들면 영향을 받진 않음
def a(b):
b. append(1)
b = [2,3]
x = [0]
a(x)
print(x) # [0,1]
Type hints
-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를 명확히 알 수 있게 해준다.
def insert(self, index:int, module: Module) -> None:
# index의 타입이 int구나,, return은 없구나 ,, 이렇게 알 수 있음
Docstring
- 파이썬 함수에 대한 상세스펙을 사전에 작성
- (''') 형태로 docstring영역 표시 (함수명 아래)
- vscode에서 docstring을 쉽게 쓸 수 있는 extension이 있음 (ctl + shift + p -> docstring 작성)

black 모듈
- (예전) flake8 모듈로 코드가 잘 작성되어있는지 확인 가능
conda install flake8
flake8 (코드 파일 명)
- 실행하면 잘 돌아가는 경우 내용이 안 뜨고, 문제가 있는 경우 어디가 문제인지 알려준다.
하지만 최근은 black 모듈을 사용한다.
conda install black
black (코드파일 명)
이는 flak8 모듈과 다르게 알아서 코드를 고쳐준다.
(+)
Java와 Python의 차이점
- Java는 타입이 미리 선언이 되어야하는데 파이썬은 Dynamic typing이 가능하다.
'개발 관련 지식 💻 > 소소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ming에 대해서 (0) | 2021.10.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