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를 짤 때 우리는 무심코 아무런 규칙없이 변수나 함수 이름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그런 습관을 가진 채로 다른 개발자들과 협업을 하거나 직장 생활을 하게 되면 욕 먹을 수 있다고 들은 듯 하다..
1. CamelCase (낙타의 등 모양과 비슷하다해서 CamelCase라고 부른다.)
👉🏻 lowerCamelCase : 합성어에서 첫 번째 단어 이후 두 번째 단어부터 대문자로 적는 방법
👉🏻 UpperCamelCase : 합성어에서 첫 번째 단어부터 모두 대문자로 적는 방법 => PascalCase 라고도 한다.
2. snake_case : 단어 사이에 _ 를 끼워넣는 방법
패키지 | helloworld |
클래스 | HelloWorld |
메소드 | helloWorld |
변수 | helloWorld |
상수 | HELLO_WORLD |
표에 있는 것들을 한번 더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패키지 (package): 모두 소문자 ✔ 클래스 (class): UpperCamelCase ✔ 메소드 (method): lowerCamelCase ✔ 변수 (variable): lowerCamelCase ✔ 상수 (constant): 모두 대문자 + 언더바 |
또한 네이밍을 할 때, 변수나 메소드 등의 이름을 보고 예측할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한다. 그냥 a=10, function abc().. 이런 식으로 하면 안된다는 뜻. 그래서 코딩할 때 변수 이름 짓는게 제일 오래 걸린다는 말이 괜히 나온게 아니다..
'개발 관련 지식 💻 > 소소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의 소소한 지식 (call by object reference, Typehints, docstring, flak8, black) (0) | 2023.10.17 |
---|